베토벤 교향곡 1번 다장조, 작품번호 21번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1799년부터 1800년까지 작곡한 첫 번째 교향곡이다. 선배들인 하이든과 모차르트에 비하면 각각 25살, 8살에 첫 교향곡을 썼는 것에 비하면 30대에 들어서 교향곡을 처음 써서 다소 늦었지만 교향곡 창작에 대한 베토벤의 열의는 대단했다. 실제로 만약 완성되었다면 수십 곡을 완성할 수 있는 방대한 초고를 남기기도 했다. 하지만 그중 작품으로 나온 것은 이 곡 하나뿐이어서, 고전파 선배들과는 달리 굉장히 공을 들여 만들었고 이곡은 여러 가지 새로운 시도를 통해 관습화 된 규칙을 깨려는 모습도 엿보인다.
베토벤 교향곡 1번 다장조, 작품번호 21 곡의 형태
- 1악장의 느린서주 첫머리에 C장조라는 기본조성을 쉽게 예상하지 못하도록 다른 조성의 화음을 갑자기 툭 넣어 의표를 찌르고 있다. 다소 파격적인 서주 뒤에 나오는 빠른 본론 부분은 고전적인 소나타 형식을 비교적 잘 지키고 있지만 끝을 맺는 종결부(코다)를 선배들보다 더 늘러 놓아 균형을 깨고 있다.
- 2악장에서도 1악장과 마찬가지로 소나타형식을 쓰고 있지만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몇몇 후기 교향곡들에서 처럼 당시 교향곡의 느린 악장에서는 잘 쓰지 않았던 트럼펫과 팀파니를 약한 팡파르처럼 뒷배경에 깔아주는 대담함도 보여준다.
- 3악장은 고전교향곡의 미뉴에트로 되어 있지만 미뉴에트라고 하기에는 속도가 너무 빠르고 추진력도 훨씬 강해 훗날 사용되는 스케르초를 예견케 한다.
- 4악장에서도 1악장과 마찬가지로 느린 서주를 두었는데 전체 관현악이 꽝 ㄸ대려준뒤 약간 주춤 되는 식으로 가다가 본론으로 들어간다. 여기서도 1,2악장과 마찬가지로 소나타 형식을 쓰고 있다. 소나 타라기엔 약간 특이한 부분이 있는데 재현부에서 2 주제가 나오고 1 주제를 또 한 번 반복한다. 그 이유는 베토벤이 1 주제를 중요하게 생각해서 그런 게 아닐까 추측해 본다.
베토벤 교향곡 1번 다장조 , 작품번호 21 관현악 편성
관현악 편성은 플루트2명 오보에 2명 클라리넷 2명 바순 2명 호른 2명 트럼펫 2명 팀파니, 현악기 5부 (제1바이올린,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라는 전형적인 고전시대의 2관 편성 스펙, 하지만 그 당시로서는 아직 많이 보급이 안된 클라리넷을 중용해 완벽한 목관악기 세팅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비중은 작았다.
베토벤 교향곡 1번 다장조 ,작품번호 21 초연
첫 공연은 1800년 4월 2일 오스트리아 빈의 부르크 테 아트(부르크 극장)에서 있었는데 베토벤이 자기 이름을 걸고 처음 시도한 '아카데미 음악회'였다. 아카데미는 당시 상업적인 의도로 행해진 음악회를 일컫는 단어였는데 이 음악회에서는 선배인 모차르트의 교향곡과 하이든의 오라토리오'천지창조'의 아리아 몇 곡 이베토 벤의 자작곡인 7중주, 피아노 협주곡 1번과 함께 공연되었다. 비평가의 견해는 엇갈렸지만 대중적으로는 크게 성공했다.
이상으로 베토벤의 교향곡중 제일 먼저 작곡한 1번 다장조 작품번호 21번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곡은 전형적인 4악장 형식을 유지한 교향곡이다.
'고전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토벤 교향곡 4번 in B flat major op.6 (0) | 2022.11.01 |
---|---|
베토벤교향곡 6번 바장조 작품번호 68 전원교향곡 (0) | 2022.10.31 |
베토벤 교향곡 2번 라장조,작품번호 36 (0) | 2022.10.26 |
모차르트 작은별 변주곡 (0) | 2022.10.14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제 8번 '비창' (0) | 2022.10.11 |